못 먹는 버섯 부위 ’균사체’, 친환경 소재 ’새활용’ <br />버섯, 포장재 등으로 개발…국내서도 연구 본격화 <br />농촌진흥청, 관련 특허 7건 확보…소비자 ’관심’ <br />버섯 농가 새 수입원으로 주목…소득 증대 기대<br /><br /> <br />버섯은 요리의 주연과 조연을 넘나드는 만능 식재료인데요. <br /> <br />버섯으로 친환경 대체 소재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돼 그 활용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민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버섯은 사람이 먹는 부분인 자실체와 식물의 뿌리처럼 양분을 흡수하는 균사체로 나뉩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들이 자실체에 관심을 두는 사이 어떤 연구자들은 먹지 못하는 균사체에 집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버섯은 볶음이나 탕, 국에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 택배 박스 안 내 물건을 지켜줄 포장재로, 또 동물을 대신할 비건 가죽, 말하자면 '버섯 가죽'으로 새활용됩니다. <br /> <br />해외에서는 이미 21세기 초반부터 균사체로 친환경 산업 소재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기술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었는데, 농촌진흥청이 3년 전부터 연구를 시작해 특허 7건을 확보했고, 이후에는 소비자들도 차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성일 / 버섯 포장재 제조업체 : 전혀 새로운 소재, 완전히 시장이 전혀 없던 소재다 보니 그런 부분에서 새로움을 많이 느끼시고 그런 새로운 경험을 굉장히 가치 있게 느끼시는 거 같고…] <br /> <br />이런 재발견은 버섯 농가에도 희소식입니다. <br /> <br />버섯은 시설 재배가 안정적이라 연중 생산되고 작황도 일정하지만, 노동 집약적이라서 소득을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소재 개발로 눈을 돌리면 수요에 맞춘 소규모 생산이 가능해 시장만 확보되면 농가의 새로운 먹거리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거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강희주 / 버섯 재배 농가 : 일반 버섯 농가도 버섯을 생산하는 농가는 다 시설들이 있기 때문에…. 디테일한 부분만 기술이 공유된다면 이런 시설 가진 사람은 누구나 생산할 수 있는 소재라고 볼 수 있죠.] <br /> <br />다른 소재로 만든다고 물을 많이 쓰지도, 인체 유해 화학물질을 쓰지도 않습니다. <br /> <br />분해되는 시간도 짧아 친환경적이고 동물에 대한 도덕적 접근을 뜻하는 '동물 윤리' 문제로부터도 자유롭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연구가 늦은 만큼 아직은 가격이 비싼 게 단점입니다. <br /> <br />[안기홍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: 수확 후 배지, 버려지는 배지를 재활용해 원가 절감부터 시작해서 최종 생산물의 가격을 내릴 수 있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민성 (kimms070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103121115476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